
About
작가소개 이병찬(1987)은 자본의 생태계를 주목해 왔다. 일회용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크리처 작업은 호흡과 사물에 대한 집착으로 만들어진 기복적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TAL 작품을 착용한 사람의 모습을 통해 소비와 자본에 지배당한 신체이자, 플라스틱 유기체가 신체에 기생하는 장면을 만들어내는 작업을 하고 있다. 또한, 도시가 갖는 질량의 불안정한 모습은 퍼포머의 행위와 변형된 파동의 사운드로 구성하는 영상 작업을 진행해 왔다.
자본이라는 보이지 않는 물질을 시각화하고 호흡과 공간을 구성하는 작업은 신도시에 몰리는 자본의 에너지를 경험하고 만들어진 이미지 이다.
이병찬은 <대전시립미술관, 너희가 곧 신임을 모르느냐, 2024>, <플라스틱 캠페인, 그린피스_서울, 2023>, <ACC, 반디산책, 2022>, <대안공간루프, 에코챔버, 2019>, <부산현대미술관, Nature, Life, Human, 2019> 등 국내 활동과 함께<Setouchi Triennale 2025, Japan>, <Teatros del Canal, The New Freak Show, 2024, Spain>, <Uchiboso Art Festival, 2024, Japan>, <Vestfossen Kunstlaboatorium, Almost Grown Up, 2023, Norway>, <Fukuoka asian art museum Tōchō-ji, FaN WEEK, 2022, Japan> 등 국외 활동을 진행해왔다. 2022년 후쿠오카 아시아 미술관과 2018년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또한 미술관 <Vestfossen Kunstlaboatorium, Norway>에 작업이 소장되어있다.
Lee Byungchan (b. 1987) has focused on the ecosystem of capital. His CREATURE series, composed of disposable plastics, presents undulating forms shaped by an obsession with breath and objects. Through the figure of a person wearing the TAL work, he visualizes a body dominated by consumption and capital—an image of a plastic organism parasitizing the human form.
He also creates video works that capture the instability of urban mass through performer actions and altered sound waves.
His practice visualizes the invisible substance of capital and constructs spaces of breath and pressure, drawing from experiences of witnessing the energy of capital concentrate in newly developed urban areas.
Lee's exhibitions in South Korea include <Daejeon Museum of Art, Magnum Opus, 2024>, <Plastic Campaign, Greenpeace_Seoul, 2023>, <ACC, Bandi Walk, 2022>, <Alternative Space Loop, Echo Chamber, 2019>, and <Busan Museum of Contemporary Art, Nature, Life, Human, 2019>. Internationally, he has exhibited at <Setouchi Triennale 2025, Japan>, <Teatros del Canal, The New Freak Show, 2024, Spain>, <Uchiboso Art Festival, 2024, Japan>, <Vestfossen Kunstlaboratorium, Almost Grown Up, 2023, Norway>, and <Fukuoka Asian Art Museum Tōchō-ji, FaN WEEK, 2022, Japan>. He participated in the artist residency programs at <Fukuoka Asian Art Museum, 2022> and <Nanji Art Studio, 2018>. Additionally, his work is part of the collection at <Vestfossen Kunstlaboratorium, Norway>.
イ・ビョンチャン(1987年生まれ)は、資本のエコシステムに注目してきました。使い捨てプラスチックで構成された〈CREATURE〉シリーズは、呼吸やモノへの執着から生まれた起伏ある形態を示しています。また、〈TAL〉作品を身に着けた人の姿を通して、消費と資本に支配された身体、そしてプラスチック有機体が身体に寄生するシーンを描いています。
さらに、都市が持つ質量の不安定さを、パフォーマーの行為と変調された波動のサウンドによって構成された映像作品として展開してきました。資本という目に見えない物質を可視化し、呼吸と空間を構成するこれらの作品は、新都市に集まる資本のエネルギーを経験し、そこから生み出されたイメージです。
イ・ビョンチャンは、以下のような国内外のプロジェクトに参加しています:
〈テジョン市立美術館、君たちは神を知らないのか、2024年〉、〈グリーンピース プラスチックキャンペーン、ソウル、2023年〉、〈ACC バンディ散策、2022年〉、〈代案空間ループ、エコーチャンバー、2019年〉、〈釜山現代美術館、Nature, Life, Human、2019年〉など、韓国内での活動に加え、〈瀬戸内国際芸術祭2025、日本〉、〈テアトロス・デル・カナル、The New Freak Show、2024年、スペイン〉、
〈内房アートフェスティバル、2024年、日本〉、〈ヴェストフォッセン・クンストラボラトリウム、Almost Grown Up、2023年、ノルウェー〉、〈福岡アジア美術館・東長寺、FaN WEEK、2022年、日本〉など、国際的にも幅広く活動しています。
2022年には福岡アジア美術館、2018年にはナンジ美術創作スタジオのレジデンスプログラムに参加しました。
また、ノルウェーの美術館〈ヴェストフォッセン・クンストラボラトリウム〉に作品が所蔵されています。
---------------------------------------------------------------------------------------------------------------------------------------------------------------------------------------
이병찬_
작업
도시를 설명하는 설치와 영상등 작업을 진행해 왔다. 주로 선보이는 설치 작업은 기존의 자연계와 다른 새로운 형태, 호흡을 보여주는 유기체의 형태를 기반으로 한다. 기존 생태계와 다른 모습과 호흡은 도시가 만들어내는 자본의 생태계를 시각화하는 작업이자, 거대한 자본을 가진 지금의 사회를 높은 해상도로 설명하려는 장치 역할을 한다. 플라스틱 유기체< CREATURE> 작업은 신도시에서 살아온 작가 본인의 경험과 자본의 에너지를 목격하고 진행한 작업이다. <CREATURE> 작업은 보통의 사람들 모두가 도시에서 사용하는 일상적인 사물과 자본이 제공하는 무형의 에너지에 대한 관찰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일상에서 사용하는 사물을 담는 봉투와 플라스틱 그리고 포장된 상품들이 거대한 도시를 설명하는 기초단계의 사물들이라 느껴졌으며, 이는 플라스틱과 바람을 이용해 도시가 생산하는 이미지를 설명하는 작업을 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작가 본인에게 다가온 자본의 팽창과 붕괴는 불규칙한 호흡으로 느껴졌으며, 호흡을 통해 보이지 않는 자본의 압력과 비현실적 감각을 설치 작업을 통해 설명하고자 했다.
이러한 도시라는 공간을 유기체적 관점과 비현실적 감각으로 바라보는 시점은 사람이 직접 작품 안으로 들어가서 작업의 호흡을 붕괴시키는 작업으로도 진행하고 있다. 사람이 입장 가능한 플라스틱 유기체 작업은 모든 공간이 소비와 자본의 맥박으로 호흡하는 장면을 설명하고 있으며, 사람의 개입으로 내부 구조가 붕괴하는 장면은 불안정한 공간의 지배를 보여주고 있다. 일시적으로 점유할 수 있는 공간의 형태를 통해 소비와 자본이 지배하는 세계에서 경험할 수 있는 상품으로 사용되는 공간의 성격을 보여준다.
그렇기에 도시가 제공하는 사물과 에너지를 시각화하는 플라스틱 유기체 작업은 기존의 자연계에서 발견할 수 있는 여러 이미지를 뒤섞어 믹스된 형태의 모습으로 구상했다. 형태를 구성하는 소재들은 포장용 플라스틱과 일회용 비닐 그리고 조명 장치 등 소비를 작동하는 사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화려한 외형과 달리 내부는 텅 빈 상태로 존재하며, 그 안의 보이지 않는 에너지를 설명하기 위해 바람을 주입하고 압력으로 팽창과 붕괴를 통해 호흡하는 듯한 장면 연출했다.
CREATURE 작업의 형태와 유사하게 보여지는 TAL 작업은 플라스틱 유기체를 신체에 착용하는 작업이다. 내부에 비어 있는 형태에 무형의 에너지를 주입하여 작동하는 탈 작업은 사람의 신체가 소비의 대상이자, 보이지 않는 자본의 압력이 신체를 지배하는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비디오를 통해 지속적인 섭취를 통한 소비의 모습 그리고 기복적인 형태를 설명하고 있다. 신체에서 발생하는 신호전달을 조작하여 오류를 만들어 내는 기생충의 성격처럼, 탈 작업은 플라스틱 유기체 형태가 신체를 지배하며 신호 감각에 이상을 만들어내는 장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의 감각을 보여주는 작업은 확장되어서 자본의 파장과 질량을 설명하는 퍼포먼스와 불확정성을 보여주는 사운드 작업으로도 선보였다. 질량의 불안정함을 보여주는 영상물은 그네와 줄넘기, 보드 그리고 트램폴린등을 이용해 불규칙한 운동성 보여주는 작업들로 구성하였다.
세상의 모든 물질이 향하는 불규칙한 운동성과 무질서의 흐름은 자본 시장에서도 나타난다.
놀이에서 보여지는 예측되지 않는 공의 움직임과 일시적 중력 이탈 등의 반복적인 행위를 작업으로 사용하여 시장의 불안정함을 보여주는 연출을 하였다. 익숙한 방식의 놀이 연출은 어렵지 않게 사람의 심리를 묘사함과 동시에 팽창하는 자본의 불안감을 유희적으로 보여주고자 하는 의도로 진행되었다. 예측 불가한 운동성을 설명하는 작업과 함께 연출되는 불규칙한 호흡과 사운드는 목관악기와 금관악기 그리고 성악가의 호흡으로 작업하였다. 악기와 목소리의 불안정한 호흡은 불규칙한 파장을 생산하여 놀이로 보여지는 질량의 상태가 불안정하다는 것을 설명한다.
LEE Byungchan_
art works
I have been creating installation and video works that attempt to describe the city. My installations are primarily based on the forms of breathing, organic entities—shapes that differ from those found in the natural world. These unfamiliar organisms and their irregular breathing rhythms visualize the ecosystem of capital produced by the city and serve as mechanisms to describe the highly complex structure of contemporary society in high resolution.
The CREATURE series of plastic organisms originated from my personal experience of living in a planned city and witnessing the forces of capital firsthand. This body of work began with observing the ordinary objects that people in cities use every day, and the invisible energies provided by capital. Items such as plastic bags, packaging materials, and wrapped goods seemed to me to be the foundational objects through which the massive system of the city could be described. This led me to explore how air and plastic could be used to visualize the image-production mechanism of urban life.
For me, the expansion and collapse of capital were experienced as irregular breaths. Through this concept of breathing, I aimed to express the invisible pressure of capital and the surreal sensations it creates, using installation as a sensory tool.
This perspective—viewing the city as an organism and as a space shaped by surreal perceptions—extends into works where the audience physically enters the structure and disrupts its breathing. These walk-in plastic organism installations present a scene in which every space seems to breathe with the pulse of consumption and capital. When the audience intervenes and the inner structure collapses, it reveals a sense of instability and domination. These temporarily occupiable spaces reflect the commodified nature of environments controlled by capital and consumption.
As such, the plastic organism works that visualize the city's material and energy are conceived as hybrid forms, merging visual references from the natural world into mixed, unfamiliar shapes. The materials used include packaging plastics, disposable vinyl, and lighting components—objects directly tied to consumption. In contrast to their flashy exteriors, the insides remain empty. Air is injected into these hollow forms, and they expand and collapse under pressure, mimicking a breathing motion to suggest the presence of invisible energy.
Closely related in form to CREATURE, the TAL series consists of wearable plastic organisms. These empty forms are activated by immaterial energy and worn on the human body. In this way, the body becomes both the object of consumption and a site dominated by the invisible pressure of capital. Through video, I portray continuous consumption and bodily transformation, reflecting how capital exerts influence through repetitive acts of intake.
Much like a parasite that interferes with a host’s neural signals, the TAL works depict plastic organisms controlling the human body and distorting its sensory feedback. These works suggest a kind of malfunction in perception, caused by external, unseen forces.
My exploration of the city’s sensory landscape has expanded into performance and sound works that attempt to express the mass and ripple effect of capital, along with its inherent unpredictability. Video pieces that demonstrate unstable mass are constructed using swings, jump ropes, boards, and trampolines to produce irregular, unpredictable movements.
This chaotic motion reflects the turbulence seen in capital markets—where all matter moves toward disorder and irregularity. Repetitive acts in play, such as the unpredictable bounce of a ball or brief moments of gravity-defying movement, are used metaphorically to represent the instability of market systems. These familiar gestures are intended to depict the psychological tension of expanding capital in a playful yet uneasy manner.
To accompany these visuals, I create irregular breathing and sound patterns using woodwinds, brass instruments, and vocal performers. The unstable breathwork and wavering tones from instruments and voices produce irregular frequencies, further emphasizing the fragile, volatile state of mass as it is expressed through play and performance.
イ・ビョンチャンの作品
私は都市を表現するインスタレーションや映像作品を制作してきました。主に発表するインスタレーションは、従来の自然界とは異なる新しい形態と呼吸を示す有機体の形を基盤としています。従来の生態系とは異なる姿や呼吸は、都市が生み出す資本の生態系を視覚化する作品であり、巨大な資本を持つ現代社会を高解像度で説明しようとする装置の役割を果たしています。プラスチック有機体〈CREATURE〉の作品は、ニュータウンで生活してきた私自身の経験と資本のエネルギーを目の当たりにして制作したものです。〈CREATURE〉は、誰もが都市で日常的に使用する物と、資本が提供する無形のエネルギーへの観察から始まりました。日常で使われる袋やプラスチック、包装された商品は、巨大な都市を説明するための基礎的な物であると感じられ、これがプラスチックと空気を用いて都市が生み出すイメージを表現する制作の契機となりました。また、私に迫ってきた資本の膨張と崩壊は不規則な呼吸のように感じられ、その呼吸を通じて見えない資本の圧力と非現実的な感覚をインスタレーションで表現しようとしました。
このように都市という空間を有機体的な視点と非現実的な感覚で捉える観点は、人が実際に作品の中に入り込み、作品の呼吸を崩壊させる試みとしても展開しています。人が入場可能なプラスチック有機体の作品は、すべての空間が消費と資本の脈動によって呼吸している様子を説明しており、人の介入によって内部構造が崩壊する様子は、不安定な空間の支配を示しています。一時的に占有可能な空間の形態を通じて、消費と資本が支配する世界で経験される商品としての空間の性質を示しています。
そのため、都市が提供する物とエネルギーを視覚化するプラスチック有機体の作品は、自然界で見られる様々なイメージを混ぜ合わせたミックスされた形態として構想しました。形態を構成する素材は包装用プラスチックや使い捨てビニール、照明装置など、消費を作動させる物で構成されています。華やかな外観とは対照的に内部は空洞の状態で存在し、その中の見えないエネルギーを説明するために空気を注入し、圧力によって膨張と崩壊を繰り返す呼吸するような場面を演出しています。
〈CREATURE〉の形態に似た〈TAL〉の作品は、プラスチック有機体を身体に装着する作品です。内部が空洞の形態に無形のエネルギーを注入して動作する〈TAL〉は、人の身体が消費の対象であり、見えない資本の圧力が身体を支配する様子を示しています。また、映像を通じて継続的な摂取による消費の様子と起伏のある形態を説明しています。身体で発生する信号伝達を操作して誤作動を起こす寄生虫の性質のように、〈TAL〉はプラスチック有機体の形態が身体を支配し、感覚の異常を生み出す場面を示しています。
都市の感覚を示す作品は拡張され、資本の波長と質量を説明するパフォーマンスや不確定性を示すサウンド作品としても発表されました。質量の不安定さを示す映像作品は、ブランコや縄跳び、ボード、トランポリンなどを使い、不規則な運動性を見せる作品で構成されています。世界のあらゆる物質が向かう不規則な運動性と無秩序な流れは資本市場にも現れます。遊びで見られる予測できないボールの動きや一時的な重力からの逸脱などの反復的な行為を作品に用い、市場の不安定さを表現しました。馴染みのある遊びの演出は難しくなく人の心理を描写し、拡大する資本の不安感を遊戯的に示そうとする意図で進められました。予測不可能な運動性を説明する作品とともに演出される不規則な呼吸と音は、木管楽器や金管楽器、声楽家の呼吸によって制作されました。楽器と声の不安定な呼吸は不規則な波長を生み出し、遊びで示される質量の状態が不安定であることを説明しています。
---------------------------------------------------------------------------------------------------------------------------------------------------------------------------------------